하니별의 부산이야기



" 제휴마켓팅의 기본개념 "


혹시 제휴마케팅이라는 단어를 어디서 접하셨나요? 인터넷부업? 텐핑? 디비디비딥? 쿠팡 파트너스? 애드센스? 

아마 대부분 디지털 노마드 관련 검색어나 인터넷으로 돈버는 방법, 블로그의 수익화방법등의 정보검색을 하시다 자연스레 제휴마케팅이란 단어를 접하셨을꺼라 생각합니다.



제휴마케팅이란




쉽게 말해 광고를 필요로 하는 광고주(머천트)를 모집하고 광고해줄 수 있는 마케터(어필리에이트)를 통하여 머천트의 광고를 하는 마케팅의 한 종류이며 아주 기본적인 형태의 광고대행 입니다. 대표적으로 텐핑, 디비디비딥등이 있습니다.

 

머천트 : 홍보가 필요한 기업의 제품 또는 서비스의 종류


어필리에이트 : 블로그, 까페, 각종 SNS를 운영하며 광고를 유치할 수 있는 사람


심플한 구조이긴 하나 머천트의 광고 실적만큼 광고비를 지급하는 것이 특징이며 홍보가 필요한 기업의 입장에선 합리적인 방식으로 광고료를 지불하는 장점이 있고 어필리에이트들은 제휴마케팅을 통해 다양한 머천트를 쉽게 제공받을수 있으므로 광고를 원하는 기업, 광고를 모아서 제공하는 제휴마케팅회사, 광고를 제공할수있는 어필리에이트 서로 윈윈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제휴마케팅의 광고산정방식


크게 CPCCPA 있으며 CPA 안에서 CPI, CPS로 나누어 설명할 수 있습니다. 



CPC

Cost Per Click의 약자이며, 머천트의 1회 클릭당 책정되는 구조입니다.

어필리에이트들의 입장에선 비교적 수익창출이 쉬우나 건당 단가가 작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구글의 애드센스, 네이버 애드 포스트 등이 있으며 비교적 애드센스의 건당 단가가 높기때문에 더욱 인기가 있습니다.


CPA

Cost Per Action의 약자이며, 광고를 본 사람이 머천트가 원하는 액션을 취했을 경우 책정되는 구조입니다.

대부분의 경우 DB수집이 목표이며 광고단가가 높은 편입니다.


CPI

Cost Per Install 의 약자이며, 머천트가 앱일때 책정되는 구조입니다

앱을 설치하는 액션을 취해야 책정되는 구조입니다.

클릭뿐만 아니라 설치까지 이끌어야 하기 때문에 비교적 단가가 높은 편입니다.


CPS 

Cost Per Sale의 약자이며, 머천트의 판매가 목적일 때 책정되는 구조입니다.

보통 책정된 %만큼 판매금액의 일부를 커미션으로 받습니다.

쿠팡에서 새롭게 선보인 쿠팡 파트너스가 CPL의 한 종류입니다.


그 밖에도 CPV(Cost Per View : 영상조회), CPL(Cost Per Lead : 회원가입,상담신청), CPM(Cost Per Mille : 광고 노출)등 많은 방식들이 있지만 대부분의 제휴마케팅은 CPC,CPA로 이루어진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블로그를 운영하시는분들이나 개인플랫폼을 운영하는 분들의 경우 어느 정도 자신의 플랫폼이 커지면 자연스레 수익화를 생각하실 겁니다.


어떤 분은 체험단을 통해 제품 및 서비스를 제공 받으시기도 하고 기업 간의 컬래버레이션을 통한 수익화를 만드시는 분들 그밖에도 생각보다 많은 제휴마케팅들이 있으며 자신의 플랫폼 색깔에 맞는 제휴마케팅을 찾는다면 더욱큰 수익화를 이룰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